조현 외교부 장관은 최근 미국 워싱턴 D.C.에서 진행된 미 연방의회 상원의원 면담에서 조지아주 우리 국민 구금 상황과 그에 따라 비자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앤디 킴 등의 의원들과의 회의를 통해 한국 인력들의 부당한 대우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한미 워킹그룹 신설에 대한 의제를 제안하여 협력을 요청했다. 이러한 논의는 한미 간의 경제 협력과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촉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의 면담 노력
조현 외교부 장관은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동안, 공화당의 토드 영과 빌 해거티, 민주당의 앤디 킴 상원의원과 면담을 가졌다. 그의 목적은 최근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우리 국민 구금 사태에 대한 우려를 전하고, 향후 유사 사건의 재발 방지를 위한 비자 제도 개선 방안을 함께 논의하는 것이었다.
조 장관은 면담에서 “대미 투자 사업을 성실히 이행하기 위해 한국 전문직 인력들이 미국의 관계 당국에 의해 무차별적으로 구금되는 것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외교적 협상 과정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구금된 국민들의 원활한 출국 절차가 보장될 수 있도록 미국 측의 협조를 요청했으며, 이를 통해 귀국이 가능함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이번 상황이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점을 자신있게 advocate 했다.
조 장관은 이와 관련하여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한국 인력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한미 워킹그룹 신설'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미국 측에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마련하려고 했다. 이를 통해서 한국과 미국 간의 더욱 깊은 경제 협력을 위한 단단한 기반을 다지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미국 상원 의원의 지원 반응
앤디 킴 상원의원은 조 장관의 요청에 적극 공감하며, 한미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 그는 한국의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비자 제도가 그에 못 미치는 점을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이로 인해 한미 간의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조 장관과의 만남에서 킴 의원은 특별히 구금된 한국 국민들이 신속하게 출국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해왔다고 언급했다. 그는 한국 의회와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조 장관이 제안한 '한미 워킹그룹 신설'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상원의원들은 이를 통해 한미 간의 유사 사례 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약속하며, 필요한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해거티 의원 역시 이번 사태의 심각성에 공감하며, 한국 인력들의 방문이 지역 일자리를 뺏지 않고 오히려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는 점을 부각시켰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그들의 지원을 다짐하였다. 이번 면담이 긴밀한 협력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하며, 양측이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입니다.
향후 한미 협력 방향
이번 조현 외교부 장관의 미국 상원 의원들과의 면담은 한미 간의 긴밀하고 지속적인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조 장관은 한국 국회와 미 상하원 코리아 코커스 간의 협력을 통해 양국 간의 의원 외교를 더욱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양국의 협력 채널을 심화하고 확대하기 위해 의원들의 많은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전하며 공동의 이해를 기반으로 한 협력을 요청했다.
의원들은 향후 고위급 외교 일정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하며, 조 장관의 요청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또한, 한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기념하며,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을 먼저 방문한 점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서로의 협력 의지를 다짐하였다. 이러한 노력들은 한국과 미국 간의 더욱 튼튼한 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 장관의 외교적 노력이 성과를 거두도록 지속적인 소통이 필요하며, 향후 한미 간의 경제 협력 및 비자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모색하는 데 중앙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 다음 단계로는 '한미 워킹그룹'이 조속히 결성되어 실질적인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양국의 지속적인 협력관계가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